본문 바로가기

메모리구조2

20201031#(6) 메모리구조 (2) (stack) 지난 글에서 말했듯이 오늘은 stack의 구조에 대해서 같이 공부하는 시간이다! stack에는 지역변수와 매개변수가 저장되게 되는데 스택 영역의 특징은 LIFO이다.(LAST IN FIRST OUT) ->마지막에 들어온값이 처음 나간다는 뜻인데 일상 속에서 예를 들어보자. 여러분들의 주방이 너무 더러워서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특히 접시가 널브러져 있어서 한 곳에 쌓아두려고 한다. 차곡차곡 하나씩 접시를 쌓아놓았다. 맨 처음 정리 한 접시는 바닥에 깔려있을 것이고 마지막에 정리한 접시는 접시 더미의 맨 위에 위치해 있을 것이다. 만약 여러분이 접시가 필요해 접시를 쓰려고 할 때는 맨 위에 있는 접시를 사용하게 될 것이다. 즉 마지막에 정리한 접시를 가장 먼저 꺼내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접시를 쌓는 행.. 2020. 10. 28.
20201026#(4) 메모리구조 (1) Data science를 배울 때 기본적으로 배워야 한다는 data segment에 대해서 알아보자. 프로그램이 실행될때 프로그램은 RAM에 올라간다. 이때 RAM에 올라오는 프로그램의 내용을 나누자면 code segment, data segment, heap, stack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code segment에는 프로그램의 코드가 저장이 된다. 이때 코드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게 어로 바뀌어서 저장이 된다. 예를 들자면 c언어에서 hi를 출력하려면 printf("hi"); 이지만 기계어는 0101 0001 0000 0000 0000 0111 0101 0001 0000 0000 0000 1000 0000 0000 0100 1000 0110 1001 로 나타내야한다고 한다. 기술이 발전함으.. 2020. 10.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