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이팅3

LMS Web 클론코딩 12 (검색기능 구현, Date 나타내기) 2024/2/2 검색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어떻게 구현할지에 대해서 생각을 먼저 해보았다. 일단 두 가지 방법을 생각해 봤는데 첫 번째는 검색어를 입력하면 화면 전체를 다시 불러와서 해당 검색어가 있는 post-list를 course페이지에서 보여주는 것이고, 두 번째는 ajax를 이용하여 비동기 방식으로 처리하여 바로 post-list를 보여주는 방법이다. 첫 번째 방법이 좀 더 쉬울 것 같아 일단 첫 번째 방법을 선택했다. 검색기능구현 1. Course 페이지 Search form action으로 감싸주어 search 버튼을 눌렀을 때, get요청이 lms/search-posts로 요청되도록 구현한다. 2. PostController @GetMapping("lms/search-posts") public.. 2024. 2. 2.
Adieu 2022 벌써 5월이 다 되었지만 더 늦지 않게 기록을 남기려고 작성한다. 밑은 작년의 내가 작성한 글이다. https://zhocoding.tistory.com/115 Adieu 2021 어느새 21년도가 마무리되고 22년도가 맞이했다! 작년 이맘때쯤 나는 블로그에 20년도가 마무리되는 것을 기념해 https://zhocoding.tistory.com/23 라는 글을 작성했었다. 20201231#(16) Adieu 2020! 2020년 12월 31 zhocoding.tistory.com 나는 다음과 같은 목표를 세웠었는데 결과는 어땠을까? 2022 목표 결과는? 1. 다치지 않고 지금처럼 꾸준히 운동하기 -> 군 전역 이후 학교에 복학을 했는데 아쉽게도 꾸준히 운동하지는 못했었다. 그리고 교환학생에 가서도 헬스.. 2023. 5. 5.
20201026#(4) 메모리구조 (1) Data science를 배울 때 기본적으로 배워야 한다는 data segment에 대해서 알아보자. 프로그램이 실행될때 프로그램은 RAM에 올라간다. 이때 RAM에 올라오는 프로그램의 내용을 나누자면 code segment, data segment, heap, stack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code segment에는 프로그램의 코드가 저장이 된다. 이때 코드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게 어로 바뀌어서 저장이 된다. 예를 들자면 c언어에서 hi를 출력하려면 printf("hi"); 이지만 기계어는 0101 0001 0000 0000 0000 0111 0101 0001 0000 0000 0000 1000 0000 0000 0100 1000 0110 1001 로 나타내야한다고 한다. 기술이 발전함으.. 2020. 10.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