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6
오늘은 이때까지 만들었던 페이지를 Spring 환경에서 실행시키기 위해 jsp와 Thymeleaf 중 Thymeleaf를 선택했다. 이유는 좀 더 간단한 것 같고 내가 현재 보는 강의 김영한의 스프링 기초에서 Thymeleaf를 이용하기 때문도 있다.
그래서 오늘은 TA님이 제공해주신 보일러 플레이트(개발을 위한 기초 세팅이 되어있는 코드)를 받고 내 컴퓨터에서 잘 동작하는지 테스트를 했다. 여기 세팅은 jsp와 thymeleaf 둘 다 추가는 되어있지만 기본 설정이 jsp로 되어있어 jsp설정 파일을 지우고, xml파일을 수정하고 static 폴더를 새로 생성하며 thymeleaf을 이용한 개발을 위한 환경설정을 마쳤다. 처음엔 css, js, img 파일들을 읽어오지 못하길래 뭐가 문제일까 확인해 보니 servlet-context.xml에서 path를 아래와 같이 변경해 주니 static 폴더 아래 있는 css, js, img 파일들을 읽어왔다.
<resources mapping="/static/**" location="classpath:/static/"/>
궁금증 및 고민
1. Tomcat 설정에서 exploded와 아닌것의 차이점이 뭔지를 아직 잘 모르겠다.
2. 배포 서버를 어떤것으로 할지 고민된다. (학교 제공 서버, aws, gcp 등등)
728x90
'클론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LMS Web 클론코딩 7 (Spring 입문 강의 완강) (0) | 2024.01.18 |
---|---|
LMS Web 클론코딩 6 (Spring + Thymeleaf 2) (0) | 2024.01.17 |
LMS Web 클론코딩 4 (Nav bar 디테일 수정, 로그인 페이지 그리기) (0) | 2024.01.15 |
LMS Web 클론코딩 3 (Nav bar만들기, Markdown form 넣기) (0) | 2024.01.15 |
LMS Web 클론코딩 2 (대쉬보드 페이지 그리기) (0) | 2024.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