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에 심심해서 읽어본 책.. 너무 두꺼워서 한 챕터만 읽었다. 그중에 재밌는 부분을 정리해봤다.
9장 암수의 전쟁 (Battle of the sexes)
난자가 정자보다 희귀하기에 암컷이 수컷보다 짝짓기를 할 때 신중한 경향이 나타난다. 난자가 정자보다 희귀하다면 암컷의 수를 늘리고 수컷의 수를 줄이면 되지 않을까? 이에 대해 저자는 바다코끼리를 예시로 들어 설명한다. 바다코끼리에서 거의 딸만 낳는 돌연변이가 생겨난다고 가정해보자. 이렇게 되더라도 수컷은 모자라지 않기에 암컷들은 무난히 짝짓기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딸을 만드는 유전자는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개체 성비는 암컷이 많아지게 될 것이다. 설령 암컷이 많아지게 되더라도 소수의 수컷으로도 정자를 감당할 수 있기에 큰 문제는 없다. 하지만 문제가 되는 부분은 바로 아들을 가진 부모가 갖는 유전적 이득이다. 이렇게 된다면 자연스럽게 아들을 가진 부모는 자신의 유전자를 널리 널리 퍼뜨릴 수 있지만, 딸을 가진 부모는 자신의 유전자가 끊기게 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다시 아들을 낳게 하는 유전자는 증가하게 될 것이다. 이렇듯이 암컷과 수컷을 같은 수로 낳는 것은 이 전략을 벗어나는 유전자는 손해를 입는다는 의미에서 발전하고 안정된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끗
728x90
'독서기록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일 카네기(Dale Breckenridge Carnegie) - 데일카네기 인간관계론(3,4) (0) | 2021.04.26 |
---|---|
데일 카네기(Dale Breckenridge Carnegie) - 데일카네기 인간관계론(1,2) (0) | 2021.04.23 |
김영민 - 공부란 무엇인가 (0) | 2020.12.02 |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Jerome David Salinger) - 호밀밭의 파수꾼(The Catcher in the Rye) (0) | 2020.12.02 |
Angela Lee Duckworth - 그릿(GRIT) (0) | 2020.11.17 |